본문 바로가기
접사

용비어천가

by KimPaulus 2024. 2. 26.

목판본. 105. 1445(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1447(세종 29) 5월에 간행된, 조선왕조의 창업을 송영(頌詠)한 노래이다. 모두 125장에 달하는 서사시로서, 한글로 엮은 책으로는 한국 최초의 것이다. 왕명에 따라 당시 새로이 제정된 훈민정음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권제(權踶) 등이 짓고,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 등이 주석(註釋)하였으며, 정인지가 서문(序文)을 쓰고 최항(崔恒)이 발문(跋文)을 썼다.

 

내용은 조선 건국의 유래가 유구함과 조상들의 성덕을 찬송하고, 태조(太祖)의 창업이 천명에 따른 것임을 밝힌 다음 후세의 왕들에게 경계하여 자손의 보수(保守)와 영창(永昌)을 비는 뜻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장(每章) 2행에 매행(每行) 4구로 되어 있으나, 1장이 3구이고 125장이 9구로 된 것만은 예외이다. 3장에서 109장까지는 대개 첫 절에 중국·역대 제왕의 위적(偉蹟)을 칭송하였고, 다음 절에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태조(太祖태종(太宗) 6대 임금의 사적(事蹟)을 읊고 있다. 110장에서 124장까지는 물망장(勿忘章)이라 하여 닛디 마ㆄ쇼셔로 끝마친다.

 

용비어천가의 형식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것으로, 원문 다음에 한역시(漢譯詩)와 언해(諺解)를 달았다. 또 이 노래의 1·2·3·4·125장 등 5장에는 곡을 지어서 치화평(致和平)》 《취풍형(醉豊亨)》 《봉래의(鳳來儀)》 《여민락(與民樂)등의 악보를 만들고 조정의 연례악(宴體樂)으로 사용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14 악보(樂譜)에 한글 가사 전문과 그 악보가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시의 형식을 무시하고 충분한 표현과 운율을 얻지 못하여 시가(詩歌)로서의 완벽에는 미흡한 점이 없지 않으나, 한글로 기록된 최고(最古)의 문헌으로서 15세기의 언어와 문학 연구에 중요한 사료(史料)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석(註釋) 중의 여진(女眞() 등에 관한 기록은 역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1612(광해군 4), 1659(효종 10), 1765(영조 41)에 각각 나온 중간본(重刊本)이 있으나, 초간본은 그 전질(全帙)이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의 영인본(影印本)은 광해군 연간의 재간본(再刊本)을 대본으로 하여 1938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찍어낸 것이며, 1948년에 김성칠(金聖七)이 이를 다시 발췌·영인하였고, 1956년 허웅(許雄)의 주해본 및 1968년 김형규(金亨奎)고가요주해(古歌謠註解)등도 있다.

 

현재 전10권 중 계명대학교 소장본 권8~103, 서울역사박물관 소장본 권3~42,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권1~2, 고려대 중앙도서관 소장본 권 1~2, 7~8권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중암리 갑발  (0) 2024.02.28
훈민정음  (0) 2024.02.26
석보상절  (1) 2024.02.26
상아로 만든 휴대용 해시계  (0) 2024.02.26
규표  (0) 2024.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