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자7

백자 철화 끈무늬 병(조선16세기) 1991년 1월 2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1.4cm, 입지름 7cm, 밑지름 10.6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목에 감겨 늘어진 끈 모양의 무늬가 사실적으로 느껴져, 의표를 찌르는 듯한 병이다. 잘룩하고 가는 목에 나팔처럼 벌어진 입과 어깨로부터 몸체의 밑이 한껏 벌어져 병의 중심을 이루며, 넓고 높직한 굽이 받치는 당당하고 힘찬 모습을 하고 있다. 문양은 산화코발트와 산화철을 사용하여 먼저 청색으로 목에 끈을 감고 끝 한가닥이 자연스럽게 밑으로 길게 늘어지다가 감긴 모습을 그린 후 산화철을 안료로 그 위에 엷게 유연한 필치로 농담을 섞어가면서 운치있는 줄무늬를 표현하였다. 유색(釉色)은 담청회백색(淡靑灰白色)으로 16세기 후반의 백자유(白瓷釉)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施釉)되어.. 2024. 1. 3.
백자 청화 구름 용무늬 항아리(조선18세기) 키가 높은 항아리(입호立壺)에 사실적인 청화 구름 용 무늬(雲龍文)가 크게 그려진 백자 용준龍樽이다. 용준은 왕실 의례에서 두 점이 쌍을 이루어 꽃가지를 꽂아 장식하거나 술을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크기가 크고 형태가 당당하며, 정교한 문양 표현이 특히 돋보인다. 주둥이에 넝쿨 무늬대를 두르고 어깨와 몸체 아랫부분에 크기와 모양이 조금씩 다른 도식화된 연꽃 무늬를 넣는 등 보조 문양대를 배치하였다. 몸체 중앙에는 여의주를 희롱하는 커다란 용을 그렸는데 수염과 지느러미, 비늘과 발톱 등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고, 용의 위 아래로 구름을 채워 넣었다. 투명한 담청백색의 유약과 청화의 짙은 발색이 어울려 강렬한 느낌을 준다. 2024. 1. 3.
백자 양각 매화 문자무늬 계영배(조선19세기) 계영배의 원리는 액체의 압력과 대기압, 중력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계영배 안쪽을 보면 일반 잔과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잔 높이의 7부쯤 되는 관이 중심부분에 달려 있는 것이다. 술이 7부 능선을 넘었을 때 바닥의 구멍으로 흘러버리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술이 잔에서 일정 높이만큼 올라와 있다는 것은 그 높이일 때 관 안의 대기압과 (위로 솟아 오르려는) 액체의 압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다 술의 높이가 관의 높이, 즉 7부 지점을 넘어서게 되면 술이 흘러내리기 시작한다. 정점을 넘어 긴 관으로 술이 이동한 후에는 액체의 압력이 중력의 방향과 같아지면서 계속 아래로 흐르게 된다. 거기에 더해, 일단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관 내부는 술이 빠져나간 것만큼 진공이 생기고, 바깥과의 기압차가.. 2024. 1. 3.
백자 청화 물고기 파도무늬 병(조선19세기) 목 부분이 길고 몸체가 풍만하게 벌어지는 병이다. 명·청대 중국 병 가운데에도 유사한 형태를 찾을 수 있는데, 조선백자의 경우 중국에 비해 볼륨감이 적고 선이 자연스럽다. 입 부분에는 특징적인 번개무늬를 그려 넣었고, 몸체 전면에 부채꼴 모양의 파도 무늬를 배경으로 물고기, 게, 가재, 조개, 오리 등을 청화 안료로 장식하였다. 안료의 농담이 살아있고, 자유롭고 파격적인 구성이 눈에 띤다. 이처럼 대범한 공간 구도를 연출하는 것은 19세기 청화백자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유색은 청백색을 띠며, 청화의 발색도 짙고 푸르다. 굽바닥을 깊게 깎아내었고, 굽바닥과 주위의 유약을 닦아낸 후 검은 모래가 섞인 내화토를 받쳐 구웠다. 2024. 1. 3.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 무늬 항아리(조선18세기) 조선 후기 철화백자 가운데 단연 돋보이는 걸작품이다. 몸통 전면에는 여백의 미를 살려 포도넝쿨과 원숭이를 나타냈다. 철화 안료가 짙게 설채(設彩)됨으로 인해, 발색이 강해지면서 약간씩 번지거나 뭉그러져 섬세한 묘사가 드러나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오히려 철화 안료의 깊고 진중한 색과 온화한 유백색 바탕 그리고 능란한 구도가 함께 어울려 원숙한 세련미를 드러내고 있다. 2024. 1. 3.
백자 항아리(조선15-6세기) 2024. 1. 3.
백자 청화 구름 용무늬 항아리(조선) 키가 높은 항아리(입호立壺)에 사실적인 청화 구름 용 무늬(雲龍文)가 크게 그려진 백자 용준龍樽이다. 용준은 왕실 의례에서 두 점이 쌍을 이루어 꽃가지를 꽂아 장식하거나 술을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크기가 크고 형태가 당당하며, 정교한 문양 표현이 특히 돋보인다. 주둥이에 넝쿨 무늬대를 두르고 어깨와 몸체 아랫부분에 크기와 모양이 조금씩 다른 도식화된 연꽃 무늬를 넣는 등 보조 문양대를 배치하였다. 몸체 중앙에는 여의주를 희롱하는 커다란 용을 그렸는데 수염과 지느러미, 비늘과 발톱 등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고, 용의 위 아래로 구름을 채워 넣었다. 투명한 담청백색의 유약과 청화의 짙은 발색이 어울려 강렬한 느낌을 준다.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