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접사

정남일구

by KimPaulus 2024. 2. 25.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해시계로 1437년 세종 194월에 정초 ·장영실 ·김빈 ·이천 ·김돈 등에 의하여 완성된 일련의 천문의기, 곧 앙부일구 ·천평일구 ·현주일구 ·규표 중의 하나이다.

 

해시계의 제작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세종실록에 처음으로 나타나 있다. 1437(세종 19) 4월 정초(鄭招장영실(蔣英實김빈(金鑌이천(李蕆김돈(金墩) 등에 의하여 완성된 일련의 천문의기(天文儀器), 곧 앙부일구(仰釜日晷천평일구(天平日晷현주일구(縣珠日晷규표(圭表) 중의 하나로 이들 해시계들은 중국 원()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郭守敬)이 만든 천문의기의 영향과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다.

 

매우 정밀한 것으로 현주일구·천평일구의 특징과 간구(簡晷)의 특징을 함께 지닌 우수한 해시계였다. ()에는 원지(圓池)와 수거(水渠)가 있어서 정확한 수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동서로 운전되는 사유환(四游環)에는 북으로부터 16°에서 167°에 이르는 반주천도(半周天度)가 새겨져 있으며, 전환(全環)의 규형(窺衡)이 남북으로 오르내리고, 지평환(地平環) 아래에 지자출입시각(至自出入時刻)에 준하여 반환(半環)이 수평으로 놓여 있다. 규형을 써서 매일의 태양거극분도(太陽去極分度)에 맞추고 방공(方孔)에 의하여 투입되는 해의 그림자를 반환에 새겨진 눈금으로 보면 자연히 남()이 정해지고 이와 함께 시각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주일구  (0) 2024.02.25
천상열차분야지도  (0) 2024.02.25
자격루  (1) 2024.02.25
일성정시의  (0) 2024.02.25
일구대  (0) 2024.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