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경

쥐불놀이

by KimPaulus 2016. 2. 21.

 

 

해마다 첫 쥐날[上子日] 또는 정월 대보름 전날 농촌에서 논밭 두렁 등의 마른 풀에 불을 놓아 모두 태우는 풍습으로, 논두렁 태우기라고도 한다. 이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쥐를 잡고 들판의 마른 풀에 붙어 있는 해충의 알을 비롯한 모든 잡충(雜蟲)을 태워 없앨 뿐만 아니라 타고 남은 재가 다음 농사에 거름이 되어 곡식의 새싹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한 소망이 담겨 있다. 또 민간신앙으로 보면, 이날 불을 놓으면 모든 잡귀를 쫓고 액을 달아나게 하여 1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이날은 마을마다 농부 또는 청소년들이 들로 나가 밭두렁, 논두렁에다 짚을 깔아 놓았다가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놓는데 이것을 쥐불이라고 한다. 자우룩한 연기와 함께 불이 사방에서 일어나 온 들판이 장관을 이루는데, 이 쥐불의 크기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 또는 그 마을의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었다. 따라서 마을마다 서로 다투어가며 불을 크고 세게 하려고 애썼다. 밤이 늦어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갈 때에도 들에 타고 있는 불은 끄지 않았다.

 

황해도 지방에서는 이 놀이를 할 때 마을 소년들이 둑을 경계로 두 패로 나뉘어, 한편에서 불을 놓으면 다른 한편에서는 불을 꺼나가는 경쟁을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이긴 쪽 마을의 쥐가 지는 쪽 마을로 몽땅 쫓겨가게 되었다. 따라서 이 쥐불놀이에서 이겨야 그 마을 농작물이 해를 입지 않아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이런 것은 농촌에서는 지금도 흔하게 볼 수 있는 풍습이다.

 

한편 이날 달이 뜰 무렵이 되면 동네 어린아이들도 쥐불놀이에 참가하였다. 예전에는 아이들의 쥐불놀이에 쑥방망이를 사용하였지만 최근까지는 대개 바람구멍이 숭숭 뚫린 빈 깡통을 사용하였다. 깡통의 양쪽에 구멍을 뚫은 다음 철사로 길게 끈을 매단다. 깡통 안에 오래 탈 수 있는 장작개비 조각이나 솔방울을 채운 다음 불쏘시개를 넣고 허공에다 빙빙 돌리며 논다. 저마다 불을 붙여 들고 빙빙 돌리면 불꽃이 원을 그리며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는다. 그러다가 망월이야!’를 외치며 논두렁, 밭두렁에다가 불을 붙이는 것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충청도 풍속에 떼를 지어 횃불을 사르는 훈서화(燻鼠火)’, 즉 쥐불 놓는 풍습이 있다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쥐불놀이를 이르는 것이다. 다만 이 놀이는 충청도 지역에 국한된 풍속이 아니라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댓글